Snow Brings Winter Memories

Day like this, snowing outside,
when everything is hushed and so quiet that one might think
even the clocks have stopped ticking, 

A crack opens, a moment shifting to another—
back to my childhood, with grandmother—
it was a day like this, snowing outside. 

Grandmother stops her mending needle,
and  turns her head to a small square-lookout glass
in the rice paper-stretched-door and she looks.        

As she turns her head back to pick up the needle
and the old sock she was mending, she says,
“today is the day your second cousin–once-removed was born,
and it was snowing like this.” As if I asked her,  “he must be
thirty five today, he was two years older than your uncle-who-is-gone-far-away.”

I only knew him by this name.
The uncle-who-is-gone-far-away was already gone by the time
I became old enough to know anything.

Far,
somewhere, so far--
every time I tried to imagine that far-ness, I only saw a fog-covered horizon.   

For a child, 
it was also a place
where deep sighs from grown-ups would get collected,
a place toward which my grandmother’s misty eyes were held for the longest time,
and where family squabbles came to an abrupt end.        

         *

Like a slow emerging Polaroid,
that unfathomable distance gave away to a stark picture—
a starched clarity in a history book—
of  a place in North, not far at all from us. 

No more than two-point-five miles of distance
beyond  the thirty-eighth parallel,
there lies the land called far away.

 

눈이 가져오는 겨울의 한 기억

 

오늘 같은날
창밖에는 눈이 나리고
사위는 온통 침묵으로 덮혀
벽에 걸린 시계 마져도 멈춰 버린 듯이 고요한 순간.
이 순간, 어디에선가 틈이 열리고 내 기억은
내 어리던 시절, 할머니 곁으로 돌아간다.
그날도 오늘같이 창밖에는 눈이 내린다.

할머니는 하시던 바느질을 멈추시고
창오지가 발린 격자문에 붙어있는
조그만 사각 유리에 당신의 얼굴을 가까이 대며 밖을 내다보신다.
다시 꿰매시던 낚은 양말을 집어 드시며 나에게 말하신다.
“오늘이 니 재종오라비가 태어난 날이구나. 그때도 오늘같이 눈이 내렸지.”
내가 물었다는 듯이 할머니는 계속하신다.
“올해로 서른다섯 이구나.”  멀리 간 니 아제보다 두 살이 많으니까…

 

나는 숙부를 오직 이 이름으로만 알고 있었다.
내가 철이 들었을 때는 이미
멀리 가신 아제는 벌써 멀리 가신지 오랜 후였다.

 

머-언
먼 어느 그곳,
멀다는 그곳을 상상해볼 때마다
나에게는 안개 자옥한 지평선밖에는 보이는게 없었다.

 

어린 나에게 그곳은
어른들의 한숨과 탄식이 모여 쌓이던 곳—
할머니의 촉촉한 눈매가 그 허공을 향해 오랫동안 머물던 곳—
또 그곳은 가족들의 옥신각신마저 멈추어 버리던 곳.

 

천천히 현상되는 폴라로이드 사진처럼
불가해한 그곳은 서슬 퍼런 영상으로 내 앞에 있다.
살을 밸 듯 뻣뻣이 풀 맥인 역사책의 서술로
이곳에서 그리 멀지도 않은 곳,  북녁의 땅으로.

 2.5 마일이 채 넘지 않는 분단의 간격,
그 3.8선 너머를 우리는 그토록 먼 곳이라고 불렀다.